AWS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람은 무조건 고려해야할 내용이 요금이다.
게다가 AWS는 서비스도 워낙 다양하고, 지역(region)별로 같은 서비스 환경에서도 부과되는 요금이 다르기 때문에, 계산이 어렵다.
또, 탄력적으로 요금을 부과해주는 방식이 많아서 체크해야할 부분이 굉장히 많다.
이럴 때, 다음 사이트를 참고해보자.
http://calculator.s3.amazonaws.com/index.html?lng=ko_KR#/
여기선 지역(region)과 제공 해주는 서비스별로 (최근에, AWS에서 업데이트를 자주 안 해줘서 전부는 없지만..) 요금을 확인해볼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인 EC2에 대한 요금을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월별 청구서 견적을 $(달러)로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지역(region)을 선택할 수 있고, EC2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을 굉장히 세부적(사용량, 결제 옵션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EC2 인스턴스 유형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룰 수 있다.
결제 옵션도 마찬가지
요금을 계산해보면서, 비용은 최소화하면서 확실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Server Engineering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 Automatic Minor Version Upgrade(AMVU) 이슈 해결하기 (0) | 2019.01.03 |
---|---|
rds timezone 변경하기 (0) | 2018.05.28 |
Elastic IP(탄력적 IP) 할당 한계 및 요금 부과 방식 (0) | 2018.05.18 |
[AWS]AWS SES 에서 허용되지 않은 이메일에게도 메일 보내기 (0) | 2017.08.30 |